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축물 건축 시 허가사항과 신고사항 총정리 | 건축법 기준 정리

by lhpyk 2025. 3. 21.
반응형

블로그 표지

 

건축을 계획하고 계신가요?
주택, 상가, 창고 등 어떤 건축물이든 건축허가 또는 건축신고는 필수입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 허가가 필요한지, 신고만으로 가능한지는 헷갈리기 쉽죠.

오늘은 건축법에 따른 건축 시 허가사항과 신고사항, 그리고 관련 법조항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건축허가란?
  2. 건축신고란?
  3. 건축허가 Vs 건축신고 비교
  4. 건축법 위반 시 불이익
  5. 건축 시 필수 비용 등 요약
  6. 마무리, 관련 정보 등

1. 건축허가란?

건축허가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관할 지자체의 허가를 받는 절차입니다.
설계도서 검토, 구조안전성, 주변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해 정식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죠.

✅ 건축허가가 필요한 경우

다음에 해당하는 건축물은 건축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연면적이 100㎡ 초과하는 건축물
  • 2층 이상 또는 높이 9m 초과
  • 건축구역, 방재지구, 문화재보호구역 등에 위치한 경우
  • 공동주택, 판매시설, 근린생활시설 외 특수 용도 건축물
  • 기존 건물의 구조 변경(개축, 증축, 대수선) 중 구조부에 영향이 있는 경우

🔎 관련 법조항

  • 건축법 제11조 (건축허가)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 행위에 대한 규정
  • 건축법 시행령 제14조
    허가 대상 건축물의 구체적 기준 명시

2. 건축신고란?

건축신고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소규모 건축행위에 대해 간소한 행정절차로 신고만 하면 건축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 건축신고가 가능한 경우

  • 연면적 100㎡ 이하의 단독주택, 창고 등
  • 1층 건축물 또는 2층 이하 & 연면적 100㎡ 이하
  • 가설건축물 (예: 공사 현장 사무소, 임시 창고 등)
  • 내부 구조 변경(대수선) 중 구조에 영향이 없는 경우
  • 건축물의 일부 용도변경 (예: 단독주택 → 근린생활시설)

🔎 관련 법조항

  • 건축법 제14조 (건축신고)
    일정 건축행위에 대해 신고만으로 가능한 경우를 명시
  • 건축법 시행령 제15조
    신고 대상 건축물의 요건 규정

3. 건축허가 vs 건축신고 비교표

비교 설명도
비교 설명도


4. 건축법 위반 시 불이익은?

허가 또는 신고 없이 불법으로 건축할 경우 이행강제금, 철거 명령, 형사 처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사전에 건축법 절차를 확인하고, 설계 단계부터 전문가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건축 시 필수 비용  요약

비용 요약
비용 요약

 

✅ TIP: 실제 비용 확인 방법

  • 관할 시청/군청 건축과에 문의하면 수수료 및 신고 방법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건축사사무소 또는 감리사와 사전 상담 시, 비용 내역을 명확히 견적서로 받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내 건축물, 허가 대상일까? 신고 대상일까?

건축행위를 계획 중이라면 먼저 다음 질문을 던져보세요:

  • 건축물의 연면적은 100㎡ 이상인가요?
  • 2층 이상이거나 높이 9m 이상인가요?
  • 건축하려는 지역이 제한구역에 속하나요?

위 질문 중 하나라도 “Yes”라면, 건축허가 대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건축신고만으로 가능할 수도 있어요.

 

상세한 내용은 전문가 (공인중개사, 건축사, 측량사 등) 혹은 지자체 건축과에 미리 상담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글자를 클릭해 보세요
글자를 클릭해 보세요
글자를 클릭해 보세요
글자를 클릭해 보세요
글자를 클릭해 보세요

 

더 많은 정보를 원하면 이미지를 클릭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