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을 계획하고 계신가요?
주택, 상가, 창고 등 어떤 건축물이든 건축허가 또는 건축신고는 필수입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 허가가 필요한지, 신고만으로 가능한지는 헷갈리기 쉽죠.
오늘은 건축법에 따른 건축 시 허가사항과 신고사항, 그리고 관련 법조항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 건축허가란?
- 건축신고란?
- 건축허가 Vs 건축신고 비교
- 건축법 위반 시 불이익
- 건축 시 필수 비용 등 요약
- 마무리, 관련 정보 등
1. 건축허가란?
건축허가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관할 지자체의 허가를 받는 절차입니다.
설계도서 검토, 구조안전성, 주변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해 정식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죠.
✅ 건축허가가 필요한 경우
다음에 해당하는 건축물은 건축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연면적이 100㎡ 초과하는 건축물
- 2층 이상 또는 높이 9m 초과
- 건축구역, 방재지구, 문화재보호구역 등에 위치한 경우
- 공동주택, 판매시설, 근린생활시설 외 특수 용도 건축물
- 기존 건물의 구조 변경(개축, 증축, 대수선) 중 구조부에 영향이 있는 경우
🔎 관련 법조항
- 건축법 제11조 (건축허가)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 행위에 대한 규정 - 건축법 시행령 제14조
허가 대상 건축물의 구체적 기준 명시
2. 건축신고란?
건축신고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소규모 건축행위에 대해 간소한 행정절차로 신고만 하면 건축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 건축신고가 가능한 경우
- 연면적 100㎡ 이하의 단독주택, 창고 등
- 1층 건축물 또는 2층 이하 & 연면적 100㎡ 이하
- 가설건축물 (예: 공사 현장 사무소, 임시 창고 등)
- 내부 구조 변경(대수선) 중 구조에 영향이 없는 경우
- 건축물의 일부 용도변경 (예: 단독주택 → 근린생활시설)
🔎 관련 법조항
- 건축법 제14조 (건축신고)
일정 건축행위에 대해 신고만으로 가능한 경우를 명시 - 건축법 시행령 제15조
신고 대상 건축물의 요건 규정
3. 건축허가 vs 건축신고 비교표
4. 건축법 위반 시 불이익은?
허가 또는 신고 없이 불법으로 건축할 경우 이행강제금, 철거 명령, 형사 처벌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사전에 건축법 절차를 확인하고, 설계 단계부터 전문가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건축 시 필수 비용 요약
✅ TIP: 실제 비용 확인 방법
- 관할 시청/군청 건축과에 문의하면 수수료 및 신고 방법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건축사사무소 또는 감리사와 사전 상담 시, 비용 내역을 명확히 견적서로 받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내 건축물, 허가 대상일까? 신고 대상일까?
건축행위를 계획 중이라면 먼저 다음 질문을 던져보세요:
- 건축물의 연면적은 100㎡ 이상인가요?
- 2층 이상이거나 높이 9m 이상인가요?
- 건축하려는 지역이 제한구역에 속하나요?
위 질문 중 하나라도 “Yes”라면, 건축허가 대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건축신고만으로 가능할 수도 있어요.
상세한 내용은 전문가 (공인중개사, 건축사, 측량사 등) 혹은 지자체 건축과에 미리 상담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