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담대 등에 적용하는 스트레스 금리를 기존 1.5% → **3.0%**로 상향 적용 의미는?! [예시로 보는 스트레스 적용금리]

by 계약 컨설턴트 2025. 10. 21.
반응형

주담대(주택담보대출)에 적용하는 스트레스 금리를 1.5% → 3.0%로 상향 적용한다’는 것은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평가할 때 더 보수적으로 본다는 뜻입니다.
즉, 실제 금리보다 **높은 가상금리(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적용예시로 스트레스 금리에 대해 확실히 살펴보겠습니다. 👇

 

🏦 1. 스트레스 금리란?

스트레스 금리(Stress Rate)’란 금융당국이 향후 금리상승 리스크를 반영하기 위해 대출심사 시 실제 적용금리보다 높게 가정하는 금리입니다.

 

 

쉽게 말해,

“지금 금리가 4%라도, 앞으로 금리가 7%까지 오르면 감당할 수 있을까?”
를 미리 계산해보는 안전장치입니다.

 

📌 예시

  • 실제 주담대 금리: 연 4.0%
  • 스트레스 금리: +3.0% → 총 7.0%로 가정
  • 은행은 7% 금리 기준으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산정합니다.

📊 2. 기존 1.5% → 3.0% 상향의 의미

기존에는 금리 인상 가능성을 1.5%만 반영했지만, 앞으로는 3.0%까지 오를 수 있다고 가정하여 대출심사를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구분 기존 변경 후
기준금리 가정 실제금리 +1.5% 실제금리 +3.0%
DSR 산정금리 예시 (실금리 4%) 5.5% 7.0%
대출한도 상대적으로 많음 상대적으로 줄어듦
대출심사 기준 완화 강화

💡 즉, 같은 소득이라도 받을 수 있는 대출금액이 줄어듭니다.

💰 3. 실제 사례로 보는 영향

예를 들어 A씨가 연소득 6,000만 원이고, 주담대 금리가 4.0%라고 할 때:

  • 기존 스트레스 금리(1.5%) 적용 시:
    → 심사금리 5.5% 기준으로 계산 → 대출한도 약 3.5억 가능
  • 상향된 스트레스 금리(3.0%) 적용 시:
    → 심사금리 7.0% 기준으로 계산 → 대출한도 약 2.8억 수준으로 감소

📉 즉, 한도 약 15~25% 축소 효과가 발생합니다.

⚠️ 4. 정부·금융당국의 취지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스트레스 금리 상향을 통해

  • 금리 상승기에도 가계부채 부실 위험을 줄이고,
  • 대출자가 장래 금리 변동에도 버틸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도입했습니다.

특히 **2025년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6.27 발표/10.15대책)**에서
“변동금리 중심의 대출 구조가 금리 상승기에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DSR 산정 시 가상의 스트레스 금리를 3%로 일괄 상향한다고 명시했습니다.

🔍 5. 정리하자면

항목 설명
스트레스 금리 대출심사 시 실제금리에 더하는 가상금리
상향 이유 금리 인상기 리스크 대비, 대출상환 안정성 강화
영향 DSR 증가 → 대출한도 감소
대상 주담대, 신용대출 등 DSR 적용 대출
효과 과도한 대출 억제, 부실위험 선제 관리

💡6.  한 줄 요약

“스트레스 금리 3.0% 적용”은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더 보수적으로 평가하여,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고, 금리 상승 시 부실 위험을 줄이려는 조치입니다.

 

 

💰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란? 스트레스 1·2·3차 규제와 그 목적 및 효과, 대비 총정리

최근 부동산 및 금융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바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입니다. 특히 정부는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스트레스 DSR’ 1차, 2차, 3차 규제를 도입하며 금리 상승

lhpyk.com

 

 

🔍 DSR에 포함되지 않는 부채와 반드시 알아야 할 유의사항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 등 금융권 대출을 계획하고 있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핵심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입니다. 2020년 이후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lhpyk.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