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매매계약과 임대차계약의 특성 총정리|민법 쉽게 정리!

by 계약 컨설턴트 2025. 4. 28.
728x90
반응형

블로그 표지
블로그 표지

부동산 매매계약이란?|개념과 특징

 

부동산 매매계약이란,
부동산(토지, 건물 등)을 사고파는 계약을 말합니다.

▶ 민법 제563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매매는 당사자 일방이 재산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그 대금 지급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한다."

부동산 매매계약의 주요 특성

특 성 설 명
쌍무계약 매도인은 소유권을 넘기고, 매수인은 대금을 지급
유상계약 대가(돈)가 반드시 수반됨
낙성계약 계약서 작성이나 대금 지급 없이, 합의만으로 성립
요물계약 아님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 등기"는 매매계약 성립 요건이 아니라, 소유권 이전 요건일 뿐
위험부담 매매계약 이후 소유권 이전 전에 멸실되면 원칙적으로 매수인 책임

 

 

부동산 임대차계약이란?|개념과 특징

 

부동산 임대차계약이란,
부동산의 사용·수익을 일정 기간 동안 제공하고, 그 대가(임대료)를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입니다.

▶ 민법 제618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임대인은 임차인으로 하여금 목적물을 사용·수익하게 하고, 임차인은 그 대가로서 임대료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한다."

부동산 임대차계약의 주요 특성

특 성 설 명
쌍무계약 임대인은 사용·수익을 제공하고, 임차인은 임대료 지급
유상계약 임대료라는 대가가 반드시 있음
낙성계약 사용·수익을 주기로 합의만 하면 성립
계속적 계약 일정 기간(예: 1년, 2년 등) 동안 관계가 유지됨
계약갱신 요구권 등 주택임대차보호법 등 특별법 적용 가능성

 


부동산 매매계약과 임대차계약|중요 포인트

  • 둘 다 쌍무계약이고 유상계약이며, 낙성계약입니다.
  • 부동산 매매는 "소유권"이 넘어가지만,
    부동산 임대차는 "사용권"만 넘어갑니다.
  • 부동산 매매는 등기가 중요하고,
    부동산 임대차는 대항요건(전입신고 + 확정일자 등)이 중요합니다.

마무리|부동산 계약, 이렇게 이해하자!

  • 부동산 매매계약은 "소유권을 사고파는 계약"
  • 부동산 임대차계약은 "일정 기간 사용하게 해주는 계약"
  • 목적, 계약 형태, 권리 이전 방식 등이 다르니
    계약 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특히 부동산 거래 시, 매매는 등기이전 문제,
임대차는 보증금 보호(대항력·우선변제권) 문제를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계약 특성중 쌍무계약과 동시이행항변권 핵심정리

쌍무계약이란? | 동시이행항변권?

 

**쌍무계약(雙務契約)**이란,
계약 당사자 양쪽 모두가 서로 의무를 부담하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나도 해야 할 일이 있고, 너도 해야 할 일이 있는 계약"**입니다.

▶ 민법 제536조는 쌍무계약에 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민법 제536조 제1항
"당사자 쌍방이 서로 대가적 의미를 가지는 의무를 부담하는 경우, 이행과 동시에 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

관련정보 링크


쌍무계약의 대표적인 예시

예 시 설 명
매매계약 매도인은 물건을 넘기고, 매수인은 대금을 지급
임대차계약 임대인은 사용·수익을 제공하고, 임차인은 임대료 지급
고용계약(근로계약) 근로자는 일하고, 사용자는 급여 지급
도급계약 수급인은 완성물을 제공하고, 도급인은 보수 지급

쌍무계약의 특징

  • 상대방의 의무와 연계되어 자신의 의무가 존재합니다.
  • 동시이행 관계가 성립하여, 이행의 순서가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한쪽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다른 쪽도 이행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

동시이행항변권이란?|쌍무계약과 연결

**동시이행항변권(同時履行抗辯權)**이란,
쌍무계약에서 상대방이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거나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않으면, 나도 내 의무 이행을 거절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핵심 포인트:
"상대방이 안 하면, 나도 안 한다!"

▶ 민법 제536조 제1항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동시이행항변권의 요건

동시이행항변권이 성립하려면 다음 조건이 필요합니다.

  1. 쌍무계약이어야 함
  2. 쌍방의 채무가 서로 대가적 관계에 있어야 함
  3. 상대방이 이행을 제공하지 않음

✔ 포인트:
일방이 먼저 이행을 해야 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이행과 동시에 권리 행사할 수 있습니다.


동시이행항변권의 효과

  • 상대방이 자신의 의무를 이행할 때까지 자신의 의무 이행을 거절할 수 있습니다.
  • 상대방이 이행하면 즉시 자신의 의무도 이행해야 합니다.
  • 부당한 이행거절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쌍무계약과 동시이행항변권|쉽게 이해하는 예시

상 황 동시이행항변권 적용 여부
매도인이 물건을 주지 않음 → 매수인이 대금 지급 거부 가능
임대인이 집을 제공하지 않음 → 임차인이 임대료 지급 거부 가능
근로자가 출근하지 않음 → 회사가 급여 지급 거부 가능
매수인이 먼저 대금을 지급하기로 약정함 동시이행항변권 행사 불가 (특별 약정 우선)

 


마무리|쌍무계약과 동시이행항변권을 왜 알아야 할까?

  •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계약에서 대부분은 쌍무계약입니다.
  • 계약 이행 문제 발생 시 동시이행항변권을 이해하면 내 권리를 정당하게 주장할 수 있습니다.
  • 특히 매매, 임대차, 근로계약 등에서는 동시이행항변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계약 체결 시 이행 조건을 명확히 정하고, 문제가 생기면 먼저 이행 요구부터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정보 링크
관련정보 링크
관련정보 링크
관련정보 링크

728x90
반응형